I.우리나라 산줄기/산경과 산맥

1.우리 산줄기 바로 알기

시인마뇽 2008. 5. 27. 00:11

 

 

                    우리   산줄기  바로  알기






                                         2007. 12. 3일

                       



                                             



                                             우   명  길

                                             (禹   命  吉)

                  



 

                                             


                                                 -1-


 

 

그림:Everest kalapatthar crop.jpg

 

                                                         -2-

 

I.산이란?

 

 1.산(mountain)이란?

   육지의 표면이 주위의 땅보다 훨씬 높이 솟은 부분.




 2.산(mountain)과 구릉(hill)의 구분

   *생활가능여부

   *해발고도기준

    -우리나라300m/영국700m



 

II.우리나라 산의 특징

 

 1.산림면적:*국토면적의 67%(일본,인도네시아,브라질,스웨덴,핀란드등)

                  *사유림71%




 2.생성시기:*지질시대전반

                  *산은 신생대3기까지/구릉은 신생대3기말 또는 4기초부터




 3.지형특징:*끊임없는 조산운동으로 습곡, 단층발달

                  *동고서저형의 경동지괴형

 


                                                        -3-


 

III.등산(Mountaineering)의 역사

 

 1.한니발-고선지-나폴레옹

   *알랙산더 대왕(B.C356-323) :힌두쿠시산맥  횡단(B.C328)

   *한니발(B.C247-182):피레네/알프스 산맥 횡단(B.C218)

   *고선지(?-755):힌두쿠시산맥의 탄구령(약4,700m) 횡단(A.D747)

   *나폴레옹(1769-1821):알프스산맥(약2,500m) 횡단


  2.에베레스트산(해발8,848m) 등정사

   1)전 세계

   *1953년 에드먼드 힐러리/텐징 노르가이 등정

    -30년 동안 7개팀 등정 시도

    -8번째로 존 헌트 대장이 이끄는 영국원정대가 등정성공

   *1986년 라인홀드매스너 히말라야 14봉 완등


   2)우리나라

    *1971년 김정섭3형제 추렌히말 등정

    *1977년 고상돈 에베레스트 등정

    *2000년대 히말라야 14봉 완등 BIG 3 탄생(박영석/엄흥길/한왕용)

    *2007년 실버원정대 에베레스트등정 성공(김성봉/이장우)


   3.경동의 산악인

     *이민황/최영식/우기식:1950년대 활동

     *유재원:*1972-77년 알프스샤모니산군 고봉등정(23회중15회단독등반)                  

                 *1977년 샤모니산군의 푀테리봉남서벽에서 조난사

     *최중기:1981년아콩카구아봉(6,959m) 등정

     *조성대:*1988년매킨리산 등정(6,194m)

                 *1997년가셔브룸4봉(7,925m)

     *유학재:*1997년가셔브룸4봉(7,925m)

                 *2007년실버원정대 에베레스트 등정지원


           

 

                                            -4-


 


 IV. 우리 산줄기 바로 알기


   1.관악산에서 북한산까지 (#1관악-북한산 산줄기 잇기/#4.산줄기 백지도)   

     *산줄기 거리:약1,100Km

 

   2.백두대간이란? (#2.백두대간 주요 산사진)

     *백두산 장군봉-지리산천왕봉을 잇는 이 땅의 등뼈     

     *도상거리1,625Km(남한땅 지리산천왕봉-설악산진부령 672Km)

     *이중환의 택리지(1751년)에 “백두대간” 용어가 나옴

 

    3.산자분수령(山自分水領)이란? (#8.산경도/#9.산맥도)

     *산이 곧 분수령으로 산줄기가 물을 가르는 능선임을 뜻함

     *산은 물을 넘지 못하고 물은 산을 건너지 않음.

 

    4.산경표(山經表)란?

     *산경/수경

      -산경:산줄기/신경준의 산경표(1770년)

      -수경:물줄기/정약용의 대동수경표(1814년)

 

     *신경준

      -1712-81년/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호는 여암으로 병조참지역임

      -훈민정음 정해/동국문헌비고를 지은 지리학자

     *산경표( #3.산경표)

      -우리나라 주요산줄기인 1대간1정간13정맥을 족보식으로 표기

      -신경준의 동국문헌비고(1770년)에 실린 “여지고”,“산수고”를 바탕으로 편찬

      -조선광문회에서 산경표발행(1913년)

 

    

    

                                                   -5-

 

 

  5.대동여지도란?

    *우리나라 고지도

      -혼일강리도:1402년 김사형, 이무, 이회 등이 만든 세계지도(#5.혼일강리도)

      -조선방역도:1557년 이이 등이 제작한 우리나라 전도 (#6.조선방역도)

      -청구도/동여도:김정호가 제작

  

 

    *김정호

      -1804-1866년/평민출신/자호 고산자(古山子)/지도편집자

      -최한기/최성환/신헌으로부터 자금과 자료지원을 받음

      -3번 전국순회/8번 백두산등정의 허구


     *대동여지도 (#7.대동여지도)

      -1861년 동여도를 목판화로 제작 완료

      -76.4*115.2cm의 목판본으로 전도크기는 4*8m교실만하다 함

      -축비 216,000:1

      -대간/정맥 명칭은 없으나 산줄기로 그려져 있음

 

    6.이우형의 백두대간복권노력

    *1980년 조선광문회본 산경표 입수

    *1885년 대동여지도 재판(124년만)

    *1986년 백두개간 언론에 등장/복권

    *1990-91년 “사람과 산” 백두대간 종주기 연재

 

                                                   -6-

 

 

   7.산경과 산맥 (#.8산경도/#9.산맥도)


                        산경                                                산맥


    1)기본개념     눈에 보이는 산줄기              눈에 보이지 않는 산 밑 땅속의 광맥


    2)사용역사     조선조                                구한말


    3)개념창시     *신경준/1770년?                 *고토 분지로/1903년

                         *전래개념통합정리               *1900/1902년 총14개월간 지질조사


    3)산줄기분류   1대간1정간13정맥               14산맥


                         *백두대간                            *낭림산맥/태백산맥/소백산맥

                         *장백정간                            *함경산맥/마천령산맥

                         *청북/청남/해서/                 *강남산맥/적유령산맥/묘향산맥

                           임진북예성남정맥               *언진산맥/멸악산맥/마식령산맥

                         *한북/한남/금북

                          한남금북정맥                      *광주산맥/차령산맥

                         *금남/호남/금남호남정맥     *노령산맥

                         *낙동/낙남정맥


     4)특징      *산자분수령의 원칙에 따라        *산자분수령의 원칙과 관계없이

                       주요산줄기를 족보식으로          지하자원 중심으로 산줄기를

                       표기(강을 못 건넘)                    이어감(강을 건너감)

                     *지리학적 접근                         *지질학적 접근

                     *전통적 용어                            *학문적 용어



   

 7.왜 백두대간이어야 하는가?

 

                                                  -7-



 

 #1.관악-북한 산줄기 잇기


 

 

                                               

    

#2-1-1.백두산       *산행일자:2003. 8. 15-16일

                             *산행코스:서파능선종주코스/천문봉 코스

  

#2-1-2

 

#2-1-3

 

#2-1-4

 

#2-1-5

 

 

 

#2-2-1 설악산            *산행일자:2004. 9. 26일

                               *산행코스:한계령-대청봉-희운각-마등령-설악동                          

 

#2-2-2

 

#2-2-3

   

#2-2-4

 

#2-2-5 

 

 

 

#2-3-1 덕유산               *산행일자:2006. 8. 9일

                                  *산행코스:삿갓재-동엽령-향적봉-삼공리 

 

#2-3-2   

  

#2-3-3

 

#2-3-4 

 

 

#2-4-1 지리산                 *산행일자:2007. 5. 13일

                                    *산행코스:백무동-하동바위-장터목-천왕봉-장터목-한신계곡-백무동  

 

#2-4-2 

 

#2-4-3

 

#2-4-4

 

#2-4-5

   

 

#3.산경표

 

      

#4.산줄기백지도

 

   


 #5.혼일강리도

 

     

#6.조선방역도

 

 

      

   #7.대동여지도



 #8.산경도

 

*9.산맥도




 *상기 자료 작성에  조석필님의 저서 "태백산맥은 없다" 를 참고했음을 밝히며 저자에 감사드립니다. 본 자료에 기초해  2007년 12월 경동고  고3후배들에 우리 산줄기에 관한 이런저런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