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I.강줄기 따라걷기 148

안성천 따라 걷기3(용정교-구안성천교-군문교)

탐방구간: 용정교-안성천교-군문교탐방일자: 2025. 6. 27일(금)탐방코스: 용정교-안성천/유천합수점-중복리정류장-안성천교-구안성천교 -안성천2교-군문교-평택역탐방시간: 12시47분-17시17분(4시간30분)동행 : 나 홀로 유천이 안성천으로 흘러드는 합류점에서 안성천교에 이르는 4Km 남짓한 안성천 우안의 제방길을 따라 걷는 중 몇 곳에서 S자를 그리며 굽이쳐 흐르는 부드러운 곡류(曲流)를 보았습니다. 하천은 하도(河道)의 형태에 따라 직류하천, 곡류하천, 망류하천으로 분류됩니다. 하천은 근본적으로 곡류하려는 성질을 갖고 있어 하천을 따라 걷다 보면 자주 곡류하천을 만나 보게 됩니다. 하도의 길이와 하곡의 길이를 비율로 표시한 곡률도가 1.5 이상인 하천은 곡류하천, 이하인 하천은 직류..

안성천 따라 걷기2(백성교-안성대교-용정교)

탐방구간: 백성교-안성대교-유천/안성천 합류점탐방일자: 2025. 6. 21일(토)탐방코스: 백성교-안성대교-옥산교-갈전안성천교-한천/안성천 합류점-유천/안성천합류점 -용정교-구용정-(구)공도정류장탐방시간: 13시32분-20시5분(6시간33분) ‘안성(安城)’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는 ‘안성맞춤’일 것입니다. 매체광고 덕분에 ‘안성탕면’도 안성과 관련된 단어로 많이 상기되고 있지만, ‘안성맞춤’에는 이르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안성맞춤이란 “요구하거나 생각한 대로 잘된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경기도 안성에 유기(鍮器)를 주문하여 만든 것처럼 잘 들어맞는 데서 유래한다”고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은 정의하고 있습니다. 안성맞춤의 유기에 가려 잘 알..

안성천 따라 걷기1(내강리 강촌정류장-안성9교-백성교)

탐방구간: 내강리강촌정류장-안성9교-백성교탐방일자: 2025. 6. 13일(금)탐방코스: 내강리강촌정류장-안성천발원지인근다리-안성9교-삼죽교-도촌교-안성9교 -하이트로교-내방교-가현교-백성교-봉산로터리탐방시간: 14시9분-18시25분(4시간16분)동행 : 나 홀로 제가 올들어 주력해 따라 걸은 하천은 한남정맥 이남의 안성천계 하천입니다. 안성천의 제1지류인 진위천의 3개구간 중 2개구간을 따라 걸었고, 진위천의 제2지류인 신갈천과 제1지류인 오산천도 걸었습니다. 이 하천들은 종내 안성천으로 유입되어 서해로 흘러 들어가는 안성천의 지류들입니다. 그동안 제가 따라 걸은 안성천의 지류는 더 있습니다. 진위천의 제1지류인 황구지천은 2023년 봄에 걸었고, 송전천은 ..

반월천 따라 걷기1(수리사-덕고개갈림길-반월호수)

탐방구간: 수리사-덕고개갈림길-반월호수탐방일자: 2025. 6. 6일(금)탐방코스: 군포시중앙도서관-수리사-덕고개갈림길-반월호수-반월호수둘레길 -죽암천-대야미역탐방시간: 15시20분-19시30분(4시간10분)동행 : 나 홀로 이번에 수리사에서 반월호수까지 따라 걸은 반월천(半月川)은 경기도 군포시 속달동 수리산에서 발원하여 화성시 매송면 원리에서 시화호로 유입하는 지방하천입니다. 반월천은 수도권의 주요 수계인 한강과 안성천 수계에 모두 벗어나 있는 고유의 서해 수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라 하겠습니다. 서해로 바로 유입되는 반월천에는 죽암천, 건건천, 송라천 등의 제1지류가 합류됩니다. 제가 따라 걷고자 하는 구간은 수리산의 수리사에서 시작해 시화..

오산천 따라 걷기(진위천제1지류: 영천교-금오대교-진위천 · 오산천 합류점)

탐방구간: 영천교-금오대교-진위천 · 오산천 합류점탐방일자: 2025. 5. 25일(일)탐방코스: 영천교-나루교-금오대교-남촌대교-오산천1잠수교-사리교 -적봉교-진위천/오산천 합류점-진위역탐방시간: 13시22분 – 19시36분(6시간14분)동행 : 나 홀로 이번에 따라 걸은 오산천은 『다음백과』에 소개된 바와 같이 평택시서탄면금암리 남쪽에서 진위천으로 유입되는 진위천의 제1지류입니다. “길이 31㎞. 용인시 구성면 동백리 향린동산 높이 350m 지점 남쪽에서 발원해 남서쪽으로 흘러 신갈천을 이루고, 신갈저수지를 지나 남쪽으로 유로를 바꾸어 화성시 동탄면을 흐른다. 오산시를 지난 뒤 평택시 서탄면과 진위면의 경계를 이루며 흐르다가 서탄면 금암리 남쪽에서 진위..

진위천 따라 걷기3(진위역-황구지천합류점-안성천합류점)

탐방구간: 진위역-황구지천합류점-안성천합류점탐방일자: 2025. 5. 22일(목)탐방코스: 진위역-오산천합류점-황구지천합류점-황구지교-동연교 -궁연교-소풍정원-진위천/안성천합류점-동고2리정류장탐방시간: 7시16분-15시24분(8시간8분)동행 : 나 홀로 제 고향 경기도 파주의 대표적인 탐방길이 ‘의주길’이라면 평택시를 대표하는 둘레길은 ‘평택섶길’이라는 것을 이번에 처음 알았습니다. 진위천의 제방 길을 따라 걷다가 길가에 걸려 있는 ‘평택섶길’ 리본을 보고 집에 돌아와 구글로 과연 어떤 길인지 찾아보았습니다. 평택섶길이란 평택시의 경계와 명소를 조용하고 편안하게 걷는 둘레길로 소개되었습니다. 한복 저고리 앞자락의 작은 조각을 뜻하는 섶에 길이란 명사를 붙여 ..

한강 따라 걷기16(향산리삼층석탑-덕천교-별곡리정류장)

탐방구간: 향산리삼층석탑-덕천교-별곡리정류장탐방일자: 2025. 5. 13일(화)탐방코스: 향산리삼층석탑-가대교-가곡교-덕천교-덕천리파라글라이딩착륙장 -도담정원-삼봉대교-별곡리정류장탐방시간: 10시26분-16시52분(6시간17분)동행 : 서울사대 원영환, 이상훈, 최돈형 동문 서울사대 동문들과의 마지막 한강 따라 걷기는 충북 단양군가곡면향산리의 향산리삼층석탑유적지를 출발해 단양읍내 별곡리정류장까지 진행했습니다. 이번에 약15Km에 달하는 한강의 강줄기을 따라 걸으면서 만나본 최고의 명승은 단양군 매포읍 하괴리의 남한강 상류에 위치한 단양의 제1경 「도담삼봉(島潭三峯)」입니다. 2008년 명승으로 지정된 도담삼봉은 카르스트(karst) 지형이 만들어 낸 원추..

한강 따라 걷기15(양짓골휴게소-군간교-향산리삼층석탑)

탐방구간: 양짓골휴게소-군간교-향산사리층석탑탐방일자: 2025. 4. 29일(화)탐방코스: 양짓골휴게소-활고개-북벽교-영춘교-단양소수력발전소 -군간교-동방아그로단양복지관 -향산리삼층석탑탐방시간: 10시48분 –16시36분(5시간48분)동행 : 서울사대 원영환, 이상훈, 최돈형 동문 이번 한강 탐방 길에 지난 곳은 충청북도 단양군입니다. 단양군청의 홈피에 따르면 단양(丹陽)은 연단조양(鍊丹調陽)의 가취(佳趣)에서 시작되었으며, 연단조양의 연단 (鍊丹)은 신선이 먹는 환약을 뜻하고, 조양(調陽) 은 빛이 골고루 따뜻하게 비춘다는 의미로 신선이 다스리는 살기 좋은 고장이란 뜻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저는 본관이 단양으로 고려시대 유학자인 역동(易東) 우탁(禹..

화강 따라 걷기(한탄강 제1지류, 생창리마을회관-김화교-도창검문소)

탐방구간: 생창리마을회관-김화교-도창검문소탐방일자: 2025.4. 20일(일)탐방코스: 생창리마을회관-학사교차로-김화교-장수대교-남천대교-도창검문소탐방시간: 11시44분-17시17분(5시간33분)동행 : 나 홀로 이번에 탐방한 화강(花江)은 북한의 김화군 금성면 수리봉에서 발원하여 남한의 철원군 근동면과 김화읍을 거쳐 도창리에서 한탄강으로 흘러드는 지방하천으로, 한탄천의 제1지류입니다. 평균수심이 1m 내외로 깊지 않고 하폭 또한 50-150m로 그다지 넓지 않은 이 강의 길이는 자료마다 달라 철원군청 홈피는 23.5Km로, 디지털철원문화대전은 유로연장 기준 39.7Km로, 평화의 길 안내판에는 43.6Km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제가 지도를 보고 어림짐작한 바로는 철원군청 홈피에 실린 23..

한강 따라 걷기14(평창강/동강합수점-각동교-양짓골휴게소)

탐방구간: 평창강/동강합수점-각동교-양짓골휴게소탐방일자: 2025. 3. 31일(월)탐방코스: 평창강/동강합수점-영월빛드림본부-팔괴2리마을회관-원골버스정류장 -각동교-김삿갓삿갓쉼터-충북/강원도계-양짓골쉼터탐방시간: 10시45분-16시25분(5시간40분)동행 : 서울사대 원영환, 이상훈, 우명길 동문 강원도 태백시의 검룡소에서 시작한 한강 따라 걷기는 이번이 14번째로, 삼척시, 정선군, 평창군과 영월군을 거쳐 충북 단양군에 발을 들였습니다. 한강 탐방길에 올라 골지천-조양강-동강을 지나 동강과 서강이 합수하는 영월읍의 합류점에 다다른 것이 작년 12월이었습니다. 긴 겨울을 보내고 새봄을 맞아 이번에 대학동문들과 함께 걸은 동강/서강 합류점-각동교-양짓골휴게소 구간은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