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 6

낙동강 따라 걷기36(최종회: 물금역-삼락생태공원-낙동강하구둑)

탐방구간: 구포역-삼락생태공원-낙동강하구둑탐방일자: 2024년12월23일(월)탐방코스: 구포역-삼락생태공원관리사무소-삼락생태공원-부산건축자재판매단지                -낙동강하구둑-낙동강하굿둑전망대탐방시간: 10시4분-15시10분(5시간6분)동행       : 나 홀로     낙동강을 따라 걸으며 한 번 짚어보고 싶었던 것은 4대강 정비사업의 평가입니다. 4대강 정비사업으로 홍수와 가뭄의 피해가 거의 없어졌다며 그 성과를 높이 평가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오히려 수질이 악화되었다면서 보(洑)를 해체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4대강 정비사업이란 이명박 정부가 2008-2012년의 기간 중에 총 22조원의 예산을 들여 한강, 낙동강, 금강과 영산강 등 4대강의 유역을 정비한 ..

낙동강 따라 걷기35(물금역-옛 동원진나루터-구포역)

탐방구간: 물금역-옛 동원진나루터-구포역탐방일자: 2024년12월19일(목)탐방코스: 물금역-호포교-옛동원진나루터-대동화명대교-구포역탐방시간: 9시46분-14시51분(5시간7분)동행       : 나 홀로     제가 수변공간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우리나라 강들을 따라 걷기 시작하면서부터입니다. 제가 따라 걷기를 마친 강은 섬진강, 영산강, 임진강과 금강입니다. 낙동강은 거의 마쳐 구포-낙동강 하구의 한 구간만 남았으며, 한강은 발원지 검룡소에서 영월의 동강과 서강이 만나는 합류점까지 걸어, 한강의 하구까지 남은 거리는 한강 전체의 2/3가량 될 것 같습니다.    제가 살펴본 바로는 강에 면해 있는 수변공간은 강변 둔치로 그대로 남아 있거나 수변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수변공원이란, 해변이나 ..

낙동강 따라 걷기34(삼랑진역- 가야진사-물금역)

탐방구간: 삼랑진역-가야진사-물금역탐방일자: 2024년12월14일(토)탐방코스: 삼랑진역-작원관지-가야진사-서룡공원 -물문화전시관-물금역탐방시간: 7시2분-14시10분(7시간8분)동행       : 나 홀로     이번 낙동강 따라 걷기는 삼랑진역에서 시작해 물금역에서 마쳤습니다. 물금역은 기차로 수차례 지난바 있지만, 물금 땅을 걸어보기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저는 이제껏 물금은 강물과 관련된 우리 고유의 한글지명으로 알고 있었는데, 알고 보니 한자 지명인 ⌜勿禁⌟이었습니다. “금해서는 안 된다”는 뜻의 물금(勿禁)이 지명으로 쓰인 데는 그럴만한 까닭이 있다는 것은 물금역의 안내문 “이야기로 보는 양산의 지명 - 물금”을 읽고 알았습니다. 그 까닭이라는 것이 신라와 가야의 역사와 관련되어 있어 매우..

낙동강 따라 걷기 33(수산대교-한림배수장-삼랑진역)

탐방구간:  수산대교-한림배수장-삼랑진역탐방일자:  2024년12월13일(금)탐방코스: 수산대교-서원사-가동교차로-한림배수문-삼강서원-삼랑진역탐방시간:  9시16분-16시31분(7시간15분)동행       :  나 홀로     이번 낙동강을 따라 걷는 길에 하룻밤을 묵은 곳은 삼랑진읍(三浪津)입니다. 제가 삼랑진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경부선과 경전선이 나뉘는 철도교통의 요지라는 것과 너덜에서 종소리가 난다 하여 유명해진 만어사가 삼랑진읍의 만어산에 자리하고 있다는 정도였습니다. 1977년 봄에 군항제가 열리는 진해로 신혼여행을 갈 때 삼랑진역을 지난 적이 있고, 2011년 봄에 만어산을 오를 때 삼랑진역에서 하차하여 택시를 타고 이 산의 들머리인 관음사까지 이동한 일은 있지만, 삼랑진에서 하룻밤을 묵어..

낙동강 따라 걷기32(창녕함안보-본포교-수산대교)

탐방구간: 창녕함안보-본포교-수산대교탐방일자: 2024. 12. 6일(금)탐방코스: 창녕함안보-노고지리공원-소우정-학포양수장-본포교-수산교                -수산대교-수산버스정류소탐방시간: 7시30분-14시23분(6시간53분)     낙동강을 따라 걷느라 이번에 들른 밀양은 27년 전인 1997년 겨울에 처음 방문한 지방도시입니다. 그해 겨울 제가 단장을 맡았던 배드민턴 선수들이 추위를 피해 햇살이 따사로운 여기 밀양으로 내려와 전지훈련을 한 적이 있습니다. 이 선수들을 격려하기 위해 저녁 식사를 함께 하느라 밀양을 방문하여 하룻밤을 묵은 것이 밀양과의 최초의 인연으로 그 후 등산 길에 몇 번 더 이 지방 도시를 다녀갔습니다.    제가 밀양하면 먼저 햇살부터 떠올리는 것은 27년 전의 동계전..

낙동강 따라 걷기31(영아지마을입구-남지철교-창녕함안보)

탐방구간: 영아지마을입구-남지철교-창녕함안보탐방일자: 2024. 12. 5일(목)탐방코스: 영아지마을입구-낙동강남지개비리길-남지수변공원-남지체육공원-남지교                  -강나루생태공원-낙동대교-밀포섬-창녕함안보 탐방시간: 10시20분-16시44분(6시간24분)동행       : 나 홀로    경남 창녕 땅의 낙동강을 따라 걷는 길에 6 . 25전쟁 때 격전지였던 낙동강 전투의 역사적 현장을 지났습니다.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된 6 ᐧ 25 전쟁에서 한국군과 유엔군은 후퇴를 거듭하다 낙동강방어선을 구축해 마지막 교두보인 낙동강교두보를 지켜냈습니다. ‘낙동강 방어선’이란 낙동강을 따라 설정한 방어선으로 미(美) 8군사령관 워커(Walker) 장군이 지정한 최후의 방어선이라 하여 ‘워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