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I.강줄기 따라걷기/낙동강 따라 걷기 36

낙동강 따라 걷기6 (현동역 - 갓바위교-임기교)

낙동강 따라 걷기6 (현동역-갓바위교-임기교) 탐방구간: 현동역-갓바위교-임기교탐방일자: 2023. 10. 23일(수)탐방구간: 현동역-현동교-대율교-임기3리 거네정류장 -갓바위교- 두음교 - 선당정류장-임기교탐방시간: 12시정각 - 15시45분(3시간45분)     작년 가을 강원도태백시에서 시작한 낙동강 따라 걷기는 지난 4월 경상북도봉화군의 현동역에 이르러 일단 중단했습니다. 무더운 여름 동안은 쉬었다가 걷기에 최적의 계절인 가을을 맞아 낙동강 따라 걷기를 재개하고자 현동역으로 가는 기차 편을 알아보았습니다. 지난여름 폭우로 법전 - 춘양간 선로의 노반이 유실되어 영주 - 석포 구간의 기차운행이 중단됨에 따라 기차로는 현동역을 갈 수 없게 되었습니다.    원거리를 여행할 때 제가 이제껏 주로 이용..

낙동강 따라 걷기5(분천역-적광사-현동역)

탐방구간: 분천역-적광사-현동역 탐방일자: 2023. 4. 17일 탐방코스: 현동역-제2현동교-적광사-도호성 건물-풍애마을-풍애1교-분천역 탐방시간: 13시19분-17시20분 동행 : 서울사대 원영환, 이상훈, 우명길 동문 오지(奧地) 중의 오지인 경상북도 봉화군의 현동역으로 두 번이나 저를 불러낸 것은 우리의 산하(山河)인 낙동정맥과 낙동강입니다. 2012년12월3일 겨울밤에 처음으로 저를 혼자 현동역으로 불러낸 것은 낙동정맥이었습니다. 눈이 펄펄 내리는 밤에 현동역에서 하차해 택시를 불러 현동시내로 옮겨 하룻밤을 묵은 후 들머리인 애미랑재로 이동해 낙동정맥에 발을 들였습니다. 하얀 눈이 소복이 쌓인 통고산을 올라 조망한 낙동정맥은 산줄기가 장대해, 보는 것만으로도 가슴이 벅찼습니다. 날머리인 답운치에..

낙동강 따라 걷기 4(승부역-양원역-분천역)

탐방구간: 승부역-양원역-분천역 탐방일자: 2022. 11. 21일(월) 탐방코스: 양원역-출렁다리-승부역-배바위고개-비동마을-분천역 탐방시간: 9시24분-16시45분(7시간21분) 동행 : 나 홀로 주마간산(走馬看山)이란 말을 타고 달리며 산천을 구경한다는 뜻으로, 자세히 살피지 아니하고 대충대충 보고 지나감을 이릅니다. 이런 사자성어가 요즘도 쓰이는 것은 옛날에는 가장 빠른 이동수단이 말이어서가 아닌가 합니다. 말이 아니고 소였다면 주마간산(走馬看山) 대신 주우간산(走牛看山)으로 바뀌어 쓰였을 테니 말입니다. 그래서 말이 얼마나 빨리 달리는지 궁금했습니다. 말 중에서 가장 빨리 달리는 말은 하루에 천리를 간다는 천리마일 것입니다. 천리마가 하루에 24시간을 달려 천리, 즉 400Km를 갔다면 천리마의..

낙동강 따라 걷기3(구문소-석포역-승부역)

탐방구간: 구문소-석포제련소-  승부역 탐방일자: 2022. 11. 19일(토)탐방코스: 승부역-결둔교-석포제련소-석포역-육모정-동점역-구문소탐방시간: 9시30분-16시20분(6시간50분)동행       : 나 홀로    본격적인 추위가 시작되기 전에 경북봉화의  V- train 협곡 길을 통과하려고 낙동강 따라 걷기를 서둘렀습니다. 지난번에 마친 황지연못-장성-구문소 구간에 이어지는 다음 구간은 구문소-석포역-승부역을 이어주는 강 길로 그 길이는 약 21Km에 달합니다. 정상적으로 이어간다면 낙동강의 물 흐름에 맞추어 구문소-석포역-승부역 순으로 걸어야 했지만, 이번에는 그 역순으로 걸어 물 흐름을 거슬러 올라갔습니다.    이제껏 강줄기를 따라 걸으며 강물의 흐름을 따라서 걸어왔는데 이번에 그 반대로..

낙동강 따라 걷기2(황지연못-장성여고-구문소)

탐방구간: 황지연못-장성여고-구문소 탐방일자: 2022. 11. 9일(수) 탐방코스: 황지연못-웰빙쉼터-통리/철암 갈림길-고원체육관-장성여고-장성농공단지 -태백병원-태백중학교-태백중학도병기념관/충혼탑-구문소 탐방시간: 10시18분-16시27분(6시간9분) 동행 : 나 홀로 국가지질공원(national geopark)이란 지구과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우수한 지역으로 이를 보전하고 교육 관광사업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환경부장관이 인증한 공원을 이릅니다. 이번 낙동강 탐방 길에 황지천을 따라 걸은 지역은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이 자리한 강원도의 태백시입니다. 강원고생대국가지질공원(Gangwon Paleozoic Geopark)은 영월, 정선, 태백, 평창 일대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고생대 퇴적암류를 보여주는 ..

낙동강 따라 걷기1(너덜샘-추전역-황지연못)

탐방구간: 너덜샘-추전역-황지연못탐방일자: 2022. 10. 12일(수)탐방코스: 너덜샘-화전육교-추전역-추전삼거리-태영교-화전사거리 -황지연못-태백역탐방시간: 12시20분-17시47분(5시간27분)동행 : 나 홀로    낙동강은 강원도 태백시의 함백산 은대봉 아래에서 발원하여 경상북도 봉화군, 안동시, 예천군, 상주시, 구미시, 칠곡군, 고령군과 경상남도 밀양시, 김해시 등을 차례로 지나 남해로 흘러드는 강입니다. 강 길이가 523Km에 달해 한반도에서 압록강과 두만강 다음으로 긴 강인 낙동강이 다른 강과 대별되는 것은 하류지역에 이르러 강줄기가 두 갈래로 갈라져 남해바다로 흘러들어가는 것입니다. 다른 강들은 지천의 물을 받아 세를 불려가며 한 줄기로 흐르는데 유독 낙동강이 두 줄기로 갈라져 흐르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