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서원 탐방기
*탐방일자:2012. 2. 22일(수)
*탐방지 :경북 영주시순흥면내죽리소재 소수서원/소수박물관/선비촌
*동행 :나홀로
경북 영주시 순흥면의 소수서원(紹修書院)을 들른 것은 부석면의 부석사(浮石寺)를 둘러보고 나서입니다. 소수서원과 부석사는 서로 다른 유교와 불교의 명소이지만, 공통점은 두 명소가 새로운 역사를 연 발원지라는 것입니다. 소수서원은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으로 사찰시대의 종언을 고하고 서원시대를 열었다면 부석사는 신라의 의상대사가 화엄종을 열어 불교사를 새로 쓰게 한 고찰입니다.
조선조 지리학자인 이중환은 그의 저서 ‘택리지’에 소수서원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적고 있습니다. 소수서원은 명종임금으로부터 사액을 받기까지는 백운동서원으로 불렸습니다.
“영천 순흥부에 죽계가 있는데, 소백산에서 흘러나오는 물이다. 들이 넓고 산은 낮으며 물과 돌이 맑고 밝다. 상류에 있는 백운동 서원은 문성공 안유를 제사 지내는 곳이다. 명종 때 부제학을 지낸 주세붕이 풍기 원으로 있으면서 창설한 것이고 이것이 우리나라 서원의 시초이다. 서원 앞에 있는 누각은 시냇가에 위치하여 밝고 넓으며 온 읍의 경치를 완전히 차지하였다. 이 두 고을의 시내와 산의 형세와 토지가 비옥한 것이 안동 여러 마을의 유명한 곳과 비슷하다. 까닭에 소백산과 태백산 아래와 황강상류는 참으로 사대부가 살만한 곳이라 한다.”
서원은 사학의 상급교육기관입니다. 1418년에 즉위한 우리의 성군 세종대왕께서 즉위 첫 해에 중국의 백록동 서원을 염두에 두고 서원을 설립하는 사람을 포상하겠다고 공표하셨습니다만, 정작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서원이 이곳 순흥에 세워진 것은 중종38년인 1543년의 일이니 공표에서 건립까지 장장 125년이 걸린 셈입니다. 이 기간 동안 사교육을 담당한 곳은 서당이었고 사원이 건립된 후에도 서당의 사교육은 계속되었으며, 사원에서 공부할 학동들을 배출한 곳 또한 서당이었습니다.
중종36년인 1541년 풍기군수로 부임한 주세붕은 고려의 유학자 안향이 살던 집터가 퇴락한 것을 보고 그 곳에 안향의 사당을 짓고 위패를 모셨으며 그 2년 후 우리나라 최초의 백운동서원을 세워 강학장소로 삼았습니다. 그 후 후임군수 퇴계 이황선생께서 명종임금께 요청해 임금께서 손수 쓰신 ‘紹修書院’의 현판과 토지를 내려주셨습니다. 이로써 백운동서원은 명종5년인 1550년 우리나라 최초로 국가의 공인을 받은 사액서원인 ‘소수서원(紹修書院)이 태동된 것입니다.
이이화님의 "한국사 이야기"에 나오는 서원건물의 일반배치는 이러합니다. 선현에 제사를 지내는 사당은 맨 뒤쪽에, 강의를 하고 집회장소로 이용하는 강당은 중심에, 강당 양 옆 쪽에 원생과 빈객이 숙식하는 동제와 서제를 배치했는데, 이 세 가지는 기본건물이었다고 합니다. 이 외에 서적을 펴내는 장판고, 서적을 보관하는 서고, 제기를 보관하는 제기고, 관리와 식사를 준비하는 사택창고 등이 있고, 주변에 누각을 세워 시회를 열거나 대화를 나누는 장소로 이용했으며 정문과 담장을 둘러 경계를 표시하고 사당입구에 중문을 두어 출입을 통제했다고 합니다.
1.소수서원
부석사입구 상가의 버스종점에서 풍기 가는 버스에 올라 서원 앞에서 하차했습니다. 소백산에서 발원해 죽구계곡을 거쳐 여기 청다리까지 흘러온 죽계천은 소수서원과 선비촌을 남북으로 가르며 서천으로 흘러들어갑니다. 청다리에서 죽계천을 따라 백m 넘게 옮겨 매표소에서 입장권을 끊은 후 오른 쪽 죽계교를 건너 숲속을 지났습니다. ‘ㄱ'자 건물의 충효교육관을 일별한 후 후문을 통해 소수서원 안으로 들어섰습니다.
첫 번째로 들른 곳은 사료관이었습니다. 이 서원에서 배향하는 안향, 안축, 안보 및 주세붕 등 네 분을 소개하는 안내판 및 역사와 기능 등 서원의 모든 것을 가르쳐주는 안내판이 전시되어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주세붕이 기린 안향은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으로 1243년에 태어나 1306년에 세상을 뜨기까지 유학진흥과 미신타파에 힘 쓴 분입니다. 초명이 안유이고 호가 회헌인 안향은 원나라를 오가며 ‘주자전서를 베껴와 우리나라 최초로 주자학을 연구한 분으로 사후 문성공으로 추존되기도 했습니다. 사료관의 전시물 중 제 눈을 확 끈 것은 동국도학(東國道學)의 원류도(源流圖)였습니다. 고려조의 회헌 안향에서 조선조의 퇴계 이황을 거쳐 율계 정기에 이르기까지 120여명의 대표적인 유학자들을 계보화한 도표로 다른 곳에서 보지 못한 소중한 자료였습니다. 이밖에 스승께서 제자들에 강학하시는 모습을 미니아춰로 보여준 것도 인상적이었습니다. 아직 잔설이 남아 있고 날씨도 냉랭해 겨울이 봄의 문턱에서 머뭇거리며 물러나지 않듯이 저 역시 얼마 남지 않은 겨울방학을 아쉬워하며 신학기로 가는 문턱을 성큼 넘지 못하고 있다가 여기 사료관에서 열심히 공부하는 학동들의 모습을 보고 한시라도 빨리 공부를 시작해야겠다고 마음을 다져 먹었습니다.
서원은 크게 강학영역과 제향영역으로 나뉩니다. 사료관에 이어 찾아간 곳은 제향영역의 문성공묘와 영정각, 그리고 전사청입니다. 강학영역 서쪽에 자리한 영정각에는 이 서원이 배향하는 네 분의 영정이 모셔져 있었습니다. 이렇듯 서원 안에 영정을 모시는 영정각을 두는 것은 다른 서원에서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사례라 합니다. 문성공 안향, 문정공 안축, 문경공 안보와 문민공 주세붕의 위패를 모시는 문성공묘는 문이 잠겨 있어 안으로 들어가 보지 못했습니다.
서원의 중심 건물은 유생들이 한 자리에 모여 공부하는 강학당입니다. 남쪽의 정문으로 들어가면 ‘白雲洞’의 현판이 붙어 있는 이 서원의 강학당인 명륜당을 만나게 됩니다. 안으로 들어가면 내부 북벽에 명종임금이 손수 쓰신 ‘紹修書院’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으며 원본은 소수박물관에서 보관중이라 합니다. 천정의 대들보에 칠해진 단청은 세월의 중압을 못 이겨 많이 바랐으며 서까래 바로 아래 벽면에는 한시를 적어 넣은 여러 개의 판때기가 부착되어 있어 과연 공부방이다 했습니다. 유생과 스승이 묵는 동제는 서제는 강학당 뒤에 거의 일렬로 배열한 바, 지락재와 학구재, 직방재와 일신재가 그것들입니다. 서원이 넓지 않아 나갔다가 정문으로 다시 들어가 또 다시 둘러보고 나자 서원의 전체적인 윤곽이 잡혔습니다.
원래 여기 서원터는 숙수사가 들어선 절터였다 합니다. 서원 서쪽으로 당간지주가 서 있는 솔밭과 자그마한 산이 붙어 있어 이 산도 다녀왔습니다. 꼭대기에 오르자 서원은 물론 동쪽 건너편 선비촌도 한 눈에 조감됐습니다. 다시 내려가 죽계천변의 경렴정을 둘러본 후 이 개천 건너 소수서원박물관으로 향했습니다. 제가 건넌 죽계천이 550여년전 수많은 유생들의 수장지였음을 이번에 처음 알았습니다. 세조 3년인 1457년 금성대군이 여기 순흥에서 단종복위를 꾀하다 실패해 이 고을 유생들을 참화를 당하는 '정축지변'이 일어났고 유생들의 시체들이 수장된 것이 여기 죽계천이라는 것입니다. 풍기군수로 부임한 주세붕이 원혼들을 달래고자 경렴정 건너편 천변 바위에 '敬'자를 쓰고 붉은 칠을 하고 제사를 지냈다 합니다. 그후 원혼들의 곡소리가 그쳤으며 나중에 부임한 퇴계 이황이 흰 색으로 '白雲洞'을 써 넣어 이 바위를 '白雲洞 敬字'바위라 부른다 합니다.
2.소수박물관
소수박물관은 국내에서 유일한 유교박물관으로 2004년에 개원했습니다. 조선조의 숭유억불책으로 5백년 넘게 간난의 세월을 살아온 불교는 제가 인터넷에서 확인한 것만도 15개소의 박물관을 갖고 있는데, 그 반대편에 서서 호위호가 하던 유교는 박물관이 하나 밖에 없다 합니다. 조선조 5백 년 동안 우리의 정신문화를 지배해온 유교가 박물관을 하나 밖에 남기지 못했다는 것은 유교는 사대부 층에서만 받들었을 뿐 기층의 백성들은 대다수가 외면했다는 반증인 것입니다. 이는 아마도 불교나 도교가 보다 주정적이라면 유교는 지나치게 주지적이어서 무지렁이 백성들이 가까이 다가가기 어려웠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날렵한 외관의 현대식 2층 건물 중 아래층에 전시실이 있었습니다. 소수박물관이 소장한 22천점의 유물 중 주종은 고문서와 고책으로 이 둘만도 16천점에 이르며, 96개의 현판 소장품 속에는 명종임금이 친필로 내린 ‘紹修書院’ 등의 국보도 있습니다. 아래층 전시실은 4개의 전시실로 나뉘어졌고, 관람객들에 선보이고자 진열된 전시물은 6백여 점에 불과하다 합니다. 제1전시실에서 영주지역의 선사시대상을 보여주는 암벽화를 보았습니다. 제2전시실은 공자에 의해 개창된 유교가 어떻게 형성되었고 발전했으며 그 근본이념이 무엇인가를 알려주는 전시물로 채워졌습니다. 지방의 교육기관인 서원과 향교에 관한 것은 제3전시실에서, 소수서원 에 관련된 상세 자료들은 제4전시실에서 만나볼 수 있었습니다. 때마침 공주이씨의 소장품이 "儒의 道로 仁의 術을 펴다"라는 타이틀로 전시되는 특별기획전이 열려 눈길을 끌었습니다.
박물관에 전시된 바위그림을 보고 암벽화는 단순히 선사시대의 그림만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문자가 없던 선사시대에는 그 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이 그들의 애환을 드러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것이 암벽화였다면, 그 속에는 당연히 그들의 문학과 음악이 같이 녹아 있다고 보아야하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암벽화는 인류최초의 종합예술품일지도 모른다는 이야기입니다. 앞서 들른 소수서원의 사액전시관에서 동국도학을 이끌어온 우리의 유학자들을 한 표로 보았듯이 여기 박물관에서는 조선조 후기에 발흥한 실학의 개념도와 실학을 이끌어간 실학자들을 한 표로 보았습니다. 이 둘 모두 사진을 찍은 것은 틈나는 대로 워드로 한 번 정리해볼 뜻에서입니다. 국보급의 사액현판 ‘紹修書院’도 사진 찍었습니다. 제가 전시물을 보면서 가슴이 뛴 것은 최부(崔溥)의 표해록(漂海錄) 원본을 보고나서였습니다. 조선조 성종 때 제주 수령 최부는 부친상을 당해 급히 고향 나주로 가는 중 풍랑을 만납니다. 중국의 절강성으로 표류했다가 귀향한 금남(錦南) 최부(崔溥)는 자신의 험난한 여정을 기록해 ‘錦南漂海錄’이라는 이름으로 임금께 올립니다. 이러한 스토리는 방송대에서 국문학사시간에 배운 것이었지만, 표해록의 원본을 보기는 이번이 처음이어서 그러했습니다.
박물관에서 나와 가까이에 자리한 선비촌으로 향했습니다.
3.선비촌
선비촌이란 선비들이 모여 사는 촌락을 이릅니다. 따라서 선비촌을 제대로 탐방하기 위해서는 선비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할 것입니다. 조선조 5백년을 지배해온 사대부가 선비출신이어서 조선조의 역사를 통해 선비를 만나보기는 어렵지 않지만 교육을 국민의 4대의무로 정한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에서 옛날처럼 지식을 과점한 선비를 찾아보기는 쉽지 않습니다.
마침 제가 갖고 있는 책 중에 선비란 어떤 사람을 이르는 가를 적시한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라는 책이 한 권 있어 이 글을 쓰는데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국사편찬위원장이신 정옥자 교수님이 지은 이 책에 따르면 조선왕조가 설정한 이상적 인간형은 학예일치(學藝一致)를 이룬 자라 했습니다. 학문 즉 문(文), 사(史), 철(哲)을 전공 필수로 하여 이성훈련을 체득하고, 예술 즉 시(詩), 서(書), 화(畵)를 교양필수로 하여 감성훈련을 체질화한 자, 즉 이성과 감성이 균형있게 잘 조화된 인격체가 바로 조선왕조가 설정한 학예일치의 이상 인간형으로 본 것입니다. 선비가 추구하는 이상형도 이와 다르지 않았습니다.
성리학을 공부한 조선시대 지식인의 대명사는 선비입니다. 선비란 신분적으로 양인이고 경제적으로 중소지주층입니다. 선비가 밟아야 할 몇 단계가 있습니다. 주 전공인 성리학의 이념을 실천하는 학인인 사(士)단계에서는 수기(修己)하여 치인(治人)하는 대부(大夫)의 단계로 나아가고, 수기치인을 바탕으로 학자관료인 사대부가 되는 것이 최종목표였다 합니다. 조선선비의 사회진출은 두 가지로 나뉘는 바, 그 하나가 과거에 급제하여 관리가 되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초야에서 공부만 전념하다가 산림(山林0으로서 특채되는 것입니다. 조선 선비의 실천은 학행일치로 시작됩니다. 사리를 버리고 공의(公義)를 쫓는 것도 그것이 배운 것을 제대로 실행하는 길이기 때문입니다. 억강부약(抑强扶弱)과 더불어 선비의 2대 정신이라 불리는 선공후사(先公後私)의 정신도 그 근본은 공의 추구에 있다 하겠습니다. 선비는 국토애(國土愛)는 풍류를 즐기는 것에서 비롯됩니다. 이렇듯 선비는 학예일치르 이루고자 부단히 애쓴 조선의 지성인이었습니다.
영주시의 간행물인 “영주여행”에 선비촌을 관광하는데 확실하게 도움 되는 안내 글이 실려 있었습니다. 꽤 넓은 선비촌이 4개로 구획 지어진 것은 각기 달리 설정한 테마에 따른 것입니다. 첫 번째가 입신양명(立身揚名)입니다. 두암고택과 안동장씨종가가 이 구역에 들어선 고택으로 중앙관직에 진출한 영주의 선비들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둘째는 우도불우빈(憂道不憂貧)입니다. 김세기가, 김뢰진가, 장휘덕가, 김구영가, 김규진가와 두암고택가람집 등을 통해 가난함 속에서도 바른 삶을 중히 여기는 우도불우빈의 선비정신을 엿볼 수 있음은 물론입니다. 셋째 수신제가(修身齊家)입니다. 김상진가, 해우당고택, 강학당에서 수신제가에 힘쓰는 영주선비의 찾아볼 수 있고 전통적인 교육방식도 체험하는 곳입니다. 마지막 구간의 타이틀은 거무구안(居無求安)입니다. 김문기가, 만죽재, 옥계정사를 둘러보노라면 사는 데 있어 편안함을 추구하지 않는 거구무안의 정신을 접하게 됩니다. 거구무안의 공간에서 명상과 풍류를 즐기면서 현실의 잘잘못을 비판한 이곳 선비들의 굳은 기개가 엿보이는 곳이기도 합니다.
소수박물관을 나와 선비촌으로 들어선 제가 처음 찾은 곳은 수신제가 구역의 김상진가였습니다. ‘ㄷ'자형의 기와집인 이 고옥은 1900년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합니다. 뒤뜰장독대의 옹기장독 숫자로 보아 과연 큰집이다 했습니다. 다음에 들른 집은 왼쪽 아래 우도불우빈 구역의 김구영가였습니다. 황소 한 마리가 마당을 지키고 있는 김구영가는 초가집으로 건축연도가 앞서 본 김상진가와 같이 1900년도로 추정된다 합니다. 초가집인데도 지붕을 이은 지가 얼마 안됐고 관리를 잘해 깔끔해 보였습니다.
다음으로 들어선 집은 입신양명 구역의 두암고택입니다. 앞서 본 두 가옥보다 규모가 훨씬 커보였습니다. ‘ㅁ’자형의 기와집으로 1590년도에 건축되었다 하니 당대의 건축양식을 공부하는 건축학도들은 꼼꼼히 살펴볼 만한 집이다 싶었습니다. 선비촌 최대의 저택답게 울타리 안에 문간채, 똬리집의 안채, 사랑채, 장독대, 사당, 헛간 등이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무쇠로 된 가마솥을 걸어놓은 부뚜막, 외양간 등은 옛날 시골 집에서 보아온 터라 눈에 익었지만 집안에 모셔진 사당은 처음 보는 것이어서 낯설었습니다. 16세기 중엽에 지어졌다는 안동장씨 종택도 규모가 작지 않아 두암고택처럼 여러 채의 건물이 들어섰는데 그 배치는 같지 않았으니, 사당이 두암고택에서는 문간채에서 멀지 않았는데 안동장씨 종택에서는 왼쪽 편으로 멀리 떨어트려 놓았습니다.
거구무안구역에 들어서 찾은 집은 만죽재고택입니다. 옛 선비들의 단아한 격식이 살아나는 집으로 소개된 집답게 규모면에서 앞서 살펴 본 두암고택이나 안동장씨종택에 비할 바가 못 되게 작아 우선 문간채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옥계천에 면해 있는 장휘덕가는 우도불우빈의 정신이 배어나는 초가집이었지만 집터는 커보였습니다. 기와를 덮은 돌담 울타리와 나무들을 엮어 세운 초가울타리가 극명하게 대비되는 길을 걸어 선비촌을 한 바퀴 다 돌아본 후 옥계2교를 건너 저자거리로 나갔습니다.
선비촌 입구에 세워진 꽤 높은 선비동상을 올려다보자 저 동상의 높이처럼 덕망이 높아 존경받는 선비가 누구누구일까 궁금했습니다. 이러한 궁금증을 풀어준 책도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였습니다. 이 책에 실린 25분의 선비 중 ‘경(敬)으로서 나를 밝히고 의(義)로써 나를 던진 선비’로 추앙받는 남명 조식선생 제가 더 공부해 모실 뜻입니다.
...................................................................................................
선비가 대접받는 세상을 꼭 부러워하는 것은 아닙니다만, 적어도 공의(公義)를 중시하는 것만은 고위공직자들의 부패가 극에 달한 요즈음 우리가 반드시 지켜나가야 할 선비정신입니다. 소수서원과 소수박물관, 그리고 선비촌이 던져주는 메시지는 공의를 중시하는 선비정신일 것입니다. ‘
<탐방사진>
1)소수서원
2)소수서원박물관
3)영주 선비촌
'XIII.시인마뇽의 명소탐방 > 국내명소 탐방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관동팔경(關東八景) 탐방기 (0) | 2013.01.15 |
---|---|
49.익산 미륵사지 탐방기 (0) | 2012.08.29 |
47. 남도고찰(南道古刹) 탐방기4(부석사) (0) | 2012.04.28 |
46.경주명소 탐방기2(황룡사지 등) (0) | 2012.01.30 |
45.도계서원 탐방기 (0) | 2012.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