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I.강줄기 따라걷기 141

섬진강 따라걷기11(가덕입구-신기철교-고달교)

섬진강 따라걷기11 *종주구간:가덕입구-신기철교-고달교 *종주일자:2020. 5. 21일(목) *따라걷기:가덕입구-청계교-신기철교-요천대교-고달교 *종주시간:11시57분-17시3분(5시간6분) *동행 :나 홀로 11번째 섬진강 따라 걷기에 나선 저는 남원역에서 하차해 대강면의 방동리로 가는 버스에 올랐습니다. 버스 안에는 바리바리 꾸린 짐을 가지고 올라 탄 할머니와 할아버지들로 자리가 나지 않아 30분여 서서 갔습니다. 앞자리 위 전광판에는 이 버스는 GPS의 도움으로 정해진 시각에서 전후 3분 이내에 정류장에 도착한다는 메시지가 계속 흘렀습니다. 허리가 구부러진 데다 기력이 쇠잔해 짐을 올리고 내리기가 쉽지 않아 자연 노인 분들이 차를 타고 내리는데 걸리는 시간이 만만찮을 것입니다. 정해진 운행시간의 ..

섬진강 따라걷기10(구미교-향가유원지-가덕입구)

섬진강 따라걷기10 *종주구간:구미교-향가유원지-가덕입구 *종주일자:2020. 5. 14일(목) *따라걷기:구미교-구남교-적성교-유촌대교-대풍교 -향가유원지-방산교차로-가덕입구 *종주시간:11시24분-18시15분(6시간51분) *동행 :나 홀로 이번에 걸은 길은 얼추 잡아도 20Km가 더 되는 먼 길이었습 니다. 모처럼 먼 길을 걸어 얻은 수확은 강가에 세워진 안내판을 통해 두 편의 설화를 전해들은 것입니다. 한편은 ‘개고개 전설 이야기’이고, 또 다른 한편은‘한 효자와 한 다리전설 이야기’로 모두가 순창을 배경으로 한 설화입니다. 두 편의 설화에 새길 만한 내용이 들어 있어 여기에 간략히 소개합니다. 첫 번째 설화는 개고개 전설 이야기입니다. 남편은 장인 회갑에 참석하기 위해 부인과 함께 개를 데리고 ..

섬진강 따라걷기9(강진교-김용택시인생가-구미교)

섬진강 따라걷기9 *종주구간:강진교-김용택시인생가-구미교 *종주일자:2020. 5. 10일(일) *따라걷기:강진교-월파정-김용택시인생가-구담마을 -요강바위-구미교 *종주시간:11시20분-18시4분(6시간44분) *동행 :서울사대 이상훈동문 섬진강이 낳은 시인 김용택 선생의 생가를 들렀습니다. 직접 뵙지는 못했지만, 주옥같은 섬진강 시의 창작교실이었을 생가와 마을을 둘러본 것만으로도 가슴 뿌듯했습니다. 여기 진뫼마을에서 태어나서 자라고 모교인 덕치초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쳐온 선생의 섬진강 사랑은 수많은 시로 결실되었습니다. 섬진강 1 가문 섬진강을 따라가며 보라 퍼가도 퍼가도 전라도 실핏줄 같은 개울물들이 끊이지 않고 모여 흐르며 해 저물면 저무는 강변에 쌀밥 같은 토끼풀 꽃, 숯불 같은 자운영꽃 머리에 이..

섬진강 따라걷기8 (예덕삼리-섬진강댐-강진교)

섬진강 따라걷기8 *종주구간:예덕삼리-섬진강댐-강진교 *종주일자:2020. 5. 4일(월) *따라걷기:예덕삼리-능교-장금터널-섬진강댐-강진교 *종주시간:8시29분-15시36분(7시간7분) *동행 :나홀로 5월이 계절의 여왕으로 칭송받는 것은 신록 때문만은 아닙니다. 5월을 맞는 우리 산하의 여러 새들이 제 세상 만났다고 지저대지 않는다면 봄꽃이 만발하고 나뭇잎이 푸르른 것만으로는 온 누리가 생동하고 있음을 느끼기는 쉽지 않을 것입니다. 겨울 산이 썰렁한 것은 나뭇잎들이 모두 떨어지고 앙상한 가지만 남아서도 그렇지만, 새들이 종적을 감추고 칩거해 산을 올라도 새소리를 들을 수 없어서 더욱 그러합니다. 이번 섬진강 따라 걷기는 모처럼 아침 시간에 시작했습니다. 걸어야 할 코스가 길어 늦게 시작했다가는 해떨어..

섬진강 따라걷기7(운암삼거리-가는정이-예덕삼거리)

섬진강 따라걷기7 *종주구간:운암삼거리-가는정이-예덕삼거리 *종주일자:2020. 4. 25일(토) *따라걷기:운암삼거리-가는정이-에코브리지-두월삼거리 -자연마을-원덕리-예덕삼거리 *종주시간:12시15분-17시22분(5시간7분) *동행 :나홀로 활짝 핀 봄꽃과 연초록 나뭇잎들이 봄을 불러들인 4월 한낮에 옥정호의 호반 길을 걷던 중 새삼 제게 직립보행(直立步行)을 가능하게 해주신 돌아가신 어머니가 생각났습니다. 허리를 곧추 세우고 두 발을 움직여 직립보행을 하는 것은 우리 인류만이 누려온 특혜일지도 모릅니다. 그럼에도 대개의 건강한 사람들은 직립보행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축복받은 일인가를 잘 모르고 살아갑니다. 저 또한 그리했습니다. 제가 직립보행을 진심으로 간구한 것은 허리를 다쳐 자유롭게 걷는 ..

섬진강 따라걷기6(사양삼거리-오봉산-운암삼거리)

섬진강 따라걷기6 *종주구간:사양삼거리-오봉산-운암삼거리 *종주일자:2020. 4. 13일(월) *따라걷기:운암쌍운리-사양삼거리--순환교-국사봉 -오봉산-749번도로-운암삼거리 *종주시간:11시14분-17시21분(6시간7분) *동행 :나 홀로 명승(名勝)이란 훌륭하고 이름난 경치를, 그리고 명승지(名勝地)는 경치가 좋기로 이름난 곳을 뜻합니다만, 문화재청이 정한 명승은 이와는 조금 다릅니다. 명승이란 유적과 더불어 주위 환경이 아름다운 경관을 이루고 있는 곳으로 국가가 법으로 지정한 곳을 이릅니다. 명승은 유적보다 자연기념물적 요소가 더 큰 곳으로 문화재보호법에 의하여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받아 문화재청장이 지정합니다. 1962년 문화재보호법이 새로 제정된 후 1970년 강릉의 명주청학동소금강이 문화재청..

섬진강 따라걷기5 (선거교-482.1m봉-사양삼거리)

섬진강 따라걷기5 *종주구간:선거교-482.1m봉-사양삼거리 *종주일자:2020. 3. 29일(일) *따라걷기:선거교-482.1m봉-470m봉-밖시안골입구 -사양삼거리 *종주시간:10시47분-17시40분(6시간53분) *동행 :서울사대 원영환/이상훈 동문 중국에서 발발한 신종 코로나의 빠른 확산으로 한 달 여 쉬었던 ‘섬진..

섬진강 따라걷기4(사선문-신평리-선거교)

섬진강 따라걷기4 *종주일자: 2020. 2. 23일(일) *종주구간: 사선문-신평-선거교 *따라걷기: 관촌버스터미널-사선문-신평리-진구사지석등 -학암리-선거교-섬진강강변-학암리 *종주시간: 10시16분-16시36분(6시간20분) *동행 : 나홀로 전라북도 임실 땅이 낯설지 않은 것은 1990년대 중반 2년 넘게 모회사의 충호남영업부장으로 일하면서 이 땅을 숱하게 지나서입니다. 충청지역과 호남지역의 영업을 책임진 제게 부여된 주 임무는 대전, 광주, 그리고 전주영업소의 소장들과 함께 회사에서 할당한 영업목표를 달성하는 일이었습니다. 영업실적의 70% 가까이가 대리점에서 이루어져 영업소장들과 함께 대리점을 방문해 지원하고 독려하는 것이 저의 주된 업무였기에 대리점들을 자주 방문했습니다. 이번에 걸은 임실 ..

섬진강 따라걷기3 (좌포교-풍혈냉천-사선문)

섬진강 따라걷기3 *종주구간: 좌포교-풍혈냉천-사선문 *종주일자: 2020. 2. 11일(화) *따라걷기: 좌포보건소-좌포교-산막교-반용교-포동리-좌산교 -사선대-관촌버스터미널 *종주시간: 10시56분17시45분(6시간49분) *동행 :나 홀로 태극 모양을 그리며 흐르는 섬진강을 따라 걷는 일이 가슴 벅찬 것은 이 강이 다름 아닌 우리 땅의 강이기 때문입니다. 섬진강을 따라 걷는 일이 단순히 강줄기를 따라 걷는 것이 아니라 이 강이 천년 넘게 지켜낸 이 땅을 걷는 것이어서 그렇습니다. 주변의 경관으로 말한다면 여기 섬진강보다 풍광이 빼어난 외국의 명승지가 수두룩한데도 칠십이 더 되는 늦은 나이에 우리 강 따라 걷기에 나선 것은 섬진강과 강둑길은 이 땅의 사람들과 자연이 함께 만들어온 역사적 공간이다 싶어..

섬진강 따라걷기2 (덕운교-마령교-좌포교)

섬진강 따라걷기2 *종주구간:덕운교-마령교-좌포교 *종주일자:2020. 2. 4일(화) *따라걷기:백운정류장-덕운교-계남마을-마령교-월운교차로-월운교 -신내교-좌포교-원좌마을 *종주시간:11시53분-17시36분(5시간43분) *동행 :나 홀로 섬진강의 발원지인 데미샘이 자리하고 있는 진안 땅은 해발4백m가 넘는 고원지대의 분지(盆地)입니다. 진안분지(鎭安盆地)로 명명된 이 분지는 영남육괴와 옥천조선대 사이에 생긴 단층선을 두고 두 개의 직각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사다리꼴 형태로 지반이 꺼져 내린 후, 이곳에 만들어진 호수에 퇴적층이 두껍게 쌓여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이우평님은 그의 책 『한국지형산책』에 “진안분지는 지하 깊은 곳에서 굳은 역암 층이 약4천만년 동안 지각이 양쪽으로 물러났다가 밀려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