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I.강줄기 따라걷기 141

영산강 따라 걷기7(죽산보-동강대교-석진천교)

*탐방구간:죽산보-동강대교-석진천교 *탐방일자:2021. 3. 18일(목) *탐방코스:죽산보-나주영상테마파크-금강정-운산리데크길 -동강대교-무안양수-석진천교 *탐방시간:10시45분-15시36분(4시간51분) *동행 :나 홀로 영산강의 강줄기를 따라 걸으며 의외다 싶은 것은 저처럼 두 발로 걸어가는 사람보다 자전거를 타고 가는 사람들이 훨씬 많다는 것입니다. 도심의 강변을 지날 때에는 산책하는 사람들이 더 많지만, 도심만 벗어나면 그 많던 도보꾼들은 거의 다 사라지고, 자전거꾼들만 주로 눈에 띕니다. 또 하나 흥미로운 것은 두 발로 걷는 저보다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이 훨씬 더 젊다는 것입니다. 발원지를 출발해 강줄기를 따라 강 하구까지 같은 길로 간다면 두 발로 걸어가든, 자전거를 타고가든 이동한 거리는 ..

영산강 따라 걷기6(나주대교-영산포-죽산보)

*탐방구간:나주대교-영산포-죽산보 *탐방일자:2021. 3. 5일(금) *탐방코스:나주대교-영산포-구진교차로-백호문학관-영산교-죽산보 *탐방시간:9시-16시1분(7시간1분) *동행 :나 홀로 국토의 2/3 이상이 산으로 이루어진 우리나라에서는 험난한 산곡(山谷)이 많아 수레로 운송하기가 쉽지 않았기에 육로가 발달하지 못했습니다. 변남주 교수는 저서 『영산강 뱃길과 포구연구』에서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고래로부터 육로보다는 해로가 교통의 중심이 되어 왔다고 밝혔습니다. 해로가 교통의 중심이었다면 나루와 포구가 발달했다는 것은 불문가지의 일입니다. 영산강유역의 전근대포구는 변남주 교수의 위 책에 따르면 상류인 발원지-나주대교 구간에의 6개소, 중류인 나주대교-몽탄대교 구간에 23개소, 하류인 몽탄대교-영산강..

영산강 따라 걷기5(새로나추모관-승촌보-나주대교)

*탐방구간:새로나추모관-승촌보-나주대교) *탐방일자:2021. 2. 22일(월) *탐방코스:새로나추모관-광신대교-극락교-서창교-승용교 -승촌보-나주대교 *탐방시간:9시6분-16시32분(7시간26분) *동행 :나 홀로 인류문명이 강에서 출발한 것은 강 유역일대는 토지가 비옥하고, 관개농업이 가능하며, 수운(水運)을 할 수 있어서였을 것입니다. 강들이 실어 나른 토사들이 쌓여 만들어진 강유역의 충적평야(沖積平野)가 아무리 기름져도, 치산치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강에서 출발한 인류문명이 오늘까지 지속되지는 못했을 것입니다. 제가 강줄기를 따라 걷는 것은 우리 강이 빚어낸 명승지들을 탐승하기 위해서만은 아닙니다. 오늘의 문명을 가능토록 만든 치수의 현장을 직접 보고 싶다는 것도 강 나들이를 나선 이유 ..

영산강 따라 걷기4(증암천합수점-첨단대교-새로나추모관)

*탐방구간: 증암천합수점-첨단대교-새로나추모관 *탐방일자: 2021. 2. 8일(월) *탐방코스:증암천합수점-담양군/광주광역시경계점-영산교-지야교 -첨단대교-산동교-새로나추모관 *탐방시간: 13시38분-18시4분(4시간26분) *동행 : 나홀로 경기도 파주 태생인 제가 호남의 제1도시인 광주와 인연을 맺은 지는 꽤 오래 되었습니다. 대학 2학년생으로 여름 방학 때 고교 동창 몇이서 제주도를 가는 길에 광주를 들른 것이 1969년의 일이니 반세기가 더 지났습니다. 광주역에서 목포로 가는 기차를 탄 7월26일이 마침 광주역이 개관하는 날이어서 축제분위기였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광주에 사는 산형(山兄)들의 초청으로 다음해 2월 서울친구와 함께 광주를 다시 방문했습니다. 겨울비가 주룩주룩 내려 예정했던 ..

영산강 따라걷기3(담양교-오례천합수점-증암천합수점)

*탐방구간: 담양교-오례천합수점-증암천합수점 *탐방일자: 2021. 1. 27일(수) *탐방코스:담양터미널-담양교-양각교-담양군물순환사업소-오례천합수점 -삼지교-증암천합수점-송강정-송강정정류장 *탐방시간: 12시24분-16시40분(4시간16분) *동행 : 나홀로 제가 전라남도 담양을 알게 된 것은 대학2학년 때인 1969년 여름에 이곳을 버스로 지나고 나서입니다. 방학을 맞아 고교동기 세 명과 함께 9박10일간 서울-무주구천동-광주-목포-제주도-부산-서울 코스로 우리 국토를 여행을 하는 길에 무주구천동에서 광주까지 버스로 이동한 일이 있었습니다. 그 때 처음 지난 담양이 광주출신인 오랜 지우(知友)의 본관이라는 것을 안 것은 한참 후의 일입니다. 여러 차례 버스로 지났던 담양 땅을 직접 밟아본 것은 19..

영산강 따라 걷기2(담양댐-관방제림-담양교)

*탐방구간: 담양댐-관방제림-담양교 *탐방일자: 2021. 1. 20일(수) *탐방코스:담양댐-한전담양변전소-담양비행장-금월교-관방제림 -죽녹원-담양교-담양버스터미널 *탐방시간: 10시38분-16시31분((5시간53분) *동행 : 나홀로 치산치수가 얼마나 중요한가는 중국 역사상 최고의 석학으로 불릴만한 공자와 맹자가 공히 우임금의 치수를 언급한 것만 보아도 알 수 있습니다. 공자가 우임금의 치수에 대해 말씀한 것은 중국의 요순 때부터 주나라까지의 정사(政事)에 관한 문서를 수집해서 편찬한 『서경(書經)』의 「하서(夏書)」 편에 상세히 적혀있습니다. 아래 글은 맹자가 『맹자(孟子)』의 「등문공장구 상(滕文公章句 上」 편에서 언급한 부분을 우재호님이 번역한 을유문화사 간행 『맹자(孟子)』에서 인용해 옮겨놓은..

안양천지천 따라 걷기1(학의천/청계천)

물줄기는 크게 본류와 지류로 나뉩니다. 하구에서 거슬러 올라가 가장 긴 물줄기를 본류로 삼고, 이 본류로 흘러들어가는 물줄기는 지류가 됩니다. 태백산의 검룡소에서 발원해 서해의 하구에 이르는 물줄기를 한강의 본류로 삼은 것은 이 물줄기가 가장 길어서입니다. 몇 십 년 전만해도 한강의 발원지는 오대산의 우퉁수였습니다. 정밀하게 측정해본 즉 검룡소에서 시작된 물줄기가 우퉁수를 출발한 물줄기보다 긴 것으로 밝혀져 우퉁수는 검룡소에 한강의 발원지 자리를 넘겨주었습니다. 안양천은 한강에 바로 흘러들어가는 한강의 제1지류로 본류는 의왕/수원 경계의 지지대 고개 북사면에서 발원해 의왕-군포-안양-광명-서울을 거쳐 한강으로 흘러들어가는 물줄기입니다. 지난해 안양천 본류는 두 번에 걸쳐 천변길 따라 걷기를 마쳤습니다. ..

공릉천 따라 걷기3(장곡리체육공원-봉일천교-금릉역)

*탐방구간 : 장곡체육공원-봉일천교-금릉역 *탐방일자 : 2021. 1. 23일(토) *탐방코스 : 장곡리체육공원-한미해병참전비-봉일천교-고산천합수점-금릉역 *탐방시간 : 13시58분-16시34분(2시간37분) *동행 : 나 홀로 이번에 공릉천을 따라 걸은 파주 땅은 북한 땅과 접해 있는 경기도서부의 접경지역으로, 제가 태어나서 중학교까지 다녔던 고향 땅이기도 합니다. 1965년 서울의 고등학교로 진학하느라 떠난 후 50년 가까이 외지에서 살고 있습니다만, 파주는 형님이 살고 있고, 또 선산이 있어 한 해에 네 다섯 번은 찾아갑니다. 6 · 25전쟁을 통해 강원도는 38도선 이북지역을 수복했지만, 경기도는 오히려 서부지역에서 38도선 이남지역을 북한에 뺏겼습니다. 화천, 철원, 양구, 인제, 양양과 고성..

공릉천 따라걷기2(능선교-필리핀군참전기념비-장곡체육공원)

*탐방구간 : 능선교-필리핀군참전기념비-장곡체육공원 *탐방일자 : 2020. 12. 24일(목) *탐방코스 : 능선교-상산보-신원교-송강보-메타세콰이어길-필리핀군참전기념비 -백제농협심천지점-지영교-장곡체육공원 *탐방시간 : 11시11분-16시54분(5시간43분) *동행 : 나 홀로 고양지역의 공릉천을 송강(松江) 정철(鄭澈,1536-1593)과 동행하리라고는 전혀 생각지 못했습니다. 고양시는 공릉천의 상산보에서 송강보에 이르는 2.4Km의 천변 길을 삼분하여 ‘만남의 길’, ‘사랑의 길’, 그리고 ‘약속의 길’로 명명하고, “공릉천 이야기”라는 제목의 스토리텔링을 엮어냅니다. 고양시는 각 길에 조응하는 공릉천을 ‘만남의 강’, ‘사랑의 강’, ‘약속의 강’으로 이름 짓고, 연인 강아(江娥)를 등장시켜 ‘..

공릉천 따라걷기1(상부곡2교-신흥레저타운-능선교)

*탐방구간 : 상부곡2교-신흥레저타운-능선교 *탐방일자 : 2020. 12. 6일(일) *탐방코스 : 상부곡2교-나드리스튜디오-장흥작은도서관-신흥레저타운 -온능교-솔이네팬션-능선교-아랫말정류장 *탐방시간 : 11시33분-17시5분(5시간32분) *동행 : 나 홀로 이번에 탐방을 시작한 공릉천(恭陵川)은 양주시의 챌봉에서 발원해 파주시에서 한강으로 흘러들어가는 한강의 제1지류입니다. 경기도양주군장흥면의 부곡리에 소재한 해발516m의 챌봉 남쪽 계곡에서 발원한 공릉천은 고양시 고봉동, 파주시 조리면, 금촌읍, 교하면 일대를 지나 탄현면 송촌리 북쪽에서 한강하류 동쪽으로 흘러들어가는 하천으로 곡릉천 또는 가둔천으로도 불리기도 합니다. 이 하천의 길이는 54Km로, 챌봉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한강봉에서 발원해..